위에서 주목할 것은 초점 링과 조리개 링에 요철이 들어가서 초점 맞추기와 조리개 조절이 조금 더 용이해졌다는 사실입니다.
A6000에 물린 모습도 보시겠습니다.A6000은 에스엘알렌트에서 대여한 것입니다.
OLYMPUS IMAGING CORP.|E-M1|Aperture priority|Pattern|1/3sec|F/5.6|+1.70 EV|95.0mm|ISO-200|Flash did not fire
OLYMPUS IMAGING CORP.|E-M1|Aperture priority|Pattern|1/3sec|F/5.6|+1.70 EV|95.0mm|ISO-200|Flash did not fire
OLYMPUS IMAGING CORP.|E-M1|Aperture priority|Pattern|1/3sec|F/5.6|+1.70 EV|95.0mm|ISO-200|Flash did not fire
OLYMPUS IMAGING CORP.|E-M1|Aperture priority|Pattern|1/4sec|F/5.6|+1.70 EV|95.0mm|ISO-200|Flash did not fire
이어서 해상력을 살펴 보겠습니다.에스엘알렌트에서 대여한 소니 24mm f1.8 ZA와 비교한 자료입니다.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차이가 납니다.중앙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압도적입니다.다만 소니 24mm f1.8 ZA는 손을 많이 타는 대여업체의 렌즈라 정상 상태인지는 저도 알 수가 없습니다.아무튼 삼양 21mm f1.4는 개방부터 상당히 양호한 해상력을 보여줍니다.개방 주변부는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딸리지만 비교적 좋은 해상력으로 보입니다.f2.8에서는 주변부도 상당히 좋아집니다.
다음은 왜곡 자료입니다.
삼양 21mm f1.4는 거의 나무라기 힘들 정도로 왜곡이 양호하게 잡혔습니다.소니 24mm f1.8 ZA는 가운데가 오목한 왜곡이 보입니다.
보케도 살펴보겠습니다.
개방 보케는 주변부에서 완벽한 원형이 아니지만 심하게 찌그러진 형태는 아닙니다.1 스탑 조인 f2에서는 주변부 보케도 거의 원형에 가깝습니다.
다음은 색수차를 점검해 보겠습니다.
f4 까지 색수차가 보이지만 절대량은 많지 않습니다.미미한 정도로 보입니다.개방 미미지를 라이트룸에서 간단히 "chromatic aberration"을 체크하니 색수차가 상당량 제거됩니다.즉,축상색수차 같은 제거하기 곤란한 것은 아니므로 실제로는 색수차는 크게 문제될 소지는 없어 보입니다.
다만 화질 저하가 심한GIF 이미지라서 하늘에 층이 생겼는데 원본에서는 층이 없습니다.
주변부 광량 저하는 어떨까요?
개방에서는 뚜렷하게 보이고 f2.8에서 많이 좋아집니다.
역광 성능도 살펴보겠습니다.
비교 자료가 없어서 정확한 판단은 힘듭니다만 적어도 나빠 보이지는 않습니다.
빛갈라짐도 보시겠습니다.
조일수록 빛갈라짐은 뚜렷해집니다.
종합하면 삼양 21mm f1.4는 광학적 성능이 상당히 양호합니다.특별한 약점을 찾기 힘듭니다.크롭 바디 유저들에게 또 하나의 좋은 선택이 될 것으로 봅니다.
ASP가 3장이나 들어갔군요.
저렇다면 삼영도 ASP 만드는데 문제 없다는 이야기가 되는군요.
앞으로 기대됩니다.
저도 심심풀이 땅콩으로 a7M2한개 구입해서 소니용 E-Mount는 사용가능합니다.
여유되면 삼영렌즈 하나 구입해볼까 합니다.크랍용이건 풀프레임용이건 소니 a7M2가 소화해주니 ...
그러나 가격이 관건이군요.
리뷰 잘 보았습니다.
댓글목록
한댜님의 댓글
잘 보았습니다... ^^
하하호호님의 댓글
ASP가 3장이나 들어갔군요.
저렇다면 삼영도 ASP 만드는데 문제 없다는 이야기가 되는군요.
앞으로 기대됩니다.
저도 심심풀이 땅콩으로 a7M2한개 구입해서 소니용 E-Mount는 사용가능합니다.
여유되면 삼영렌즈 하나 구입해볼까 합니다.크랍용이건 풀프레임용이건 소니 a7M2가 소화해주니 ...
그러나 가격이 관건이군요.
리뷰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