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탐론 SP 150-600mm f5-6.3 Di VC USD 리뷰

페이지 정보

본문



2108750371_1445908296.69.jpg

탐론 SP 150-600mm f5-6.3 Di VC USD(이하 탐론 150-600VC라고 함)는 사실 그동안 많은 리뷰가 있어서 새삼스러울게 없습니다.저도 시그마 150-600C 리뷰하면서 간단히 비교해 본 바 있습니다.따라서 디자인이나 사양 및 외관 같은 내용은 생략합니다.그런 부분은 이젠 별로 궁금해하지도 않을거고 찾아보면 많이 나오니까요.

 

먼저 해상력을 살펴 보겠습니다.망원단인 600mm는 이미 비교해 본 바 있습니다만 렌즈간 편차가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얼마나 다른지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2527D045562E54D217739B

↑큰 차이는 없으나 최주변부는 시그마가 조금 우세합니다.

 

2559894F562E30E31DBE22

↑150mm에서와 비슷한 양상으로 중앙부와 그 부근은 별 차이가 없습니다.최주변부는 시그마가 조금 낫지만 조여주면 비슷해집니다.

 

2250F547562E313631ED3B

↑300mm에서 중앙부는 탐론이 의외로 약합니다.렌즈간 편차로 인한 것인지,즉 테스트한 렌즈만의 문제인지 아니면 공통적인 현상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주변부는 동등하거나 탐론이 우세합니다.테스트시 에러도 배제하지는 못하겠습니다.

 

 

2646764F562E30E7327E53

↑서로 다르지만 탐론이 우세해 보입니다.

 

265D8E4F562E30ED196E2D

↑큰 차이는 아니지만 탐론이 대체로 우세해 보입니다.

 

27713D4F562E30F0043564

지난번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600mm에서는 탐론이 아무래도 열세입니다.종합하면 어느 한 렌즈가 일방적인 우세는 보이지 않습니다.구성이 복잡한 렌즈라 그런건지 구간별로 일부 지점의 해상력 저하가 눈에 띕니다.줌 렌즈의 경우 전구간에 걸쳐 완벽하게 해상력을 유지시키기는 아주 어렵습니다.탐론 150-600VC 역시 예외가 아니고 시그마도 마찬가지 현상을 보입니다.아마 다른 개체로 비교하면 또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따라서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으며 대충 이렇다 정도로만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각을 살펴보겠습니다.150mm와 600mm가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여줄까요?

263BA539562E354335087F

최소 망원에서 최대 망원으로 당기니 극적인 화각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600mm 화각은 일반적인 렌즈에선 볼 수 없는 없는 압도적인 망원 당김을 선사합니다.

 

일반적인 외관 비교는 하지 않갰지만 외관상의 중요한 차이점을 살펴보죠.

21765F4C562E36090DE730

↑보시다시피 아주 큰 차이점이 있는데 초점 링과 삼각좌입니다.탐론은 초점링이 비교적 넓은 반면 시그마는 좀 답답합니다.외관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실제 조작성에서도 상당히 차이가 나는데 탐론의 경우 수동 초점 조절시 불편을 느끼지 못하는데 반해 시그마의 경우 초점링이 잘 구분되지도 않고 조작감도 상당히 좋지 않습니다.부드럽게 돌아가지 않고 뻑뻑한 느낌이 강해서 특히 망원측에서 초점을 수동으로 맞출 때 미세 조정이 힘듭니다.이 부분은 확실한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삼각좌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탐론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비교적 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반면(사실 시그마보다는 훨씬 낫지만 아주 편하지는 않음) 시그마는 어디를 잡아야할 지 애매해서 꽤나 불편합니다.필드에서 파지감이 좋으면 휴대성이 대폭 향상되는데 시그마의 경우 비슷한 무게라도 체감 무게는 더 부담스럽습니다.저렇게 짜리몽땅하게 만드는 것은 유저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렌즈 설계시 유저 입장에서 설계해야지 무게 조금 줄인다고 저런 경제적(?)이지만 편의성을 아주 무시하는 설계를 하는건 결코 반갑지 않습니다.

2679AB4C562E360B0C388F

 

참고로 탐론 150-600VC의 경우 얼마 전에 휴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전용 삼각좌가 발표되었습니다.A011TL이라는 모델으로서 휴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악세사리입니다.

232A6245562E3A8819C292

그림과 같이 더욱 들고 다니기 편하게 해주는 악세사리입니다.탐론 150-600VC가 무리일 정도로 무겁지는 않지만 시간이 갈수록 힘들어지므로 저런 악세사리가 추가되면 체감 휴대성이 더욱 나아질 것입니다.

 

참고로 탐론 150-600VC와 시그마 150-600C는 겉보기 밝기는 동일합니다만 실제 밝기는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렌즈 

 f5

 f5.6

 f6.3

 탐론 150-600VC

 150-225mm

 226-410mm

 411-600mm

 시그마 150-600C

 150-179mm

 180-387mm

 388-600mm

 

위 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시그마의 경우 388mm에서 f6.3의 밝기가 시작되는 반면 탐론은 411mm에서 f6.3이 시작됩니다.망원 밝기에서 탐론이 약간이니마 유리하고 중간 줌 구간도 탐론이 조금 더 밝기면에서 유리합니다.즉 실제적인 밝기는 탐론이 약간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점 거리도 둘 다 150-600mm로 되어 있지만 실제는 탐론이 더 망원입니다.

24218135562E4048415710

 

AF 성능의 경우 둘 다 괜찮은 편이지만 탐론이 약간은 나아 보입니다.신속성이나 정확도 면에서 탐론이 미세하게나마 낫다고 느껴집니다.

 

총평

탐론과 시그마의 150-600mm는 라이벌 렌즈답게 매력 포인트가 서로 다릅니다.

화질적으로는 시그마가 망원단에서 조금 앞서는 면이 있어서 시그마가 조금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편의성 면에선 탐론이 한 수 위라고 보여집니다.화질도 망원단을 제외하면 엎치락뒤치락하는 수준으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입니다.

즉 어느 하나에 일방적인 편을 들어주기 힘든 서로 다른 장점을 가진 렌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하 탐론 150-600VC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전부 크롭하지 않은 이미지입니다.

25356C36562E4ABD0B3FF8

 

262D3F36562E4ABE133207

 

2610EE36562E4AC034F5A0

 

221AB536562E4AC228B5C8

 

23146E36562E4AC431D724

 

243D6936562E4AC604BE37

 

222B7536562E4AC7166381

 

271E5136562E4AC9253012

 

27106B36562E4ACB35D102

 

22265D36562E4ACE1C6541

 

26127B36562E4AD0341764

 

24225036562E4AD12048A4

 

25344836562E4AD30C352C

 

27315036562E4AD51070FB

 

22289C37562E4AD70DAA36

 

25054A37562E4AD8336327

 

21343C37562E4ADB037B4E

 

21044737562E4ADD35BA9F

 

27203137562E4AE016408E

 

21038D37562E4AE236EAF3

 

27256737562E4AE511062F

 

24710D35562E4AE822B4EF

 

216DF135562E4AE92507F0

 

267BFC35562E4AEB16880A

 

2570EA35562E4AED22D061

 

27713D35562E4AEF225186

 

26719C35562E4AF122B1F4

 

2103EE35562E4AF3114393

 

23130E37562E4AF4259321

 

230EA137562E4AF62A4973

 

252BFD37562E4AF80A7C3F

 

2207C137562E4AFA32659F

 

250F1737562E4AFB29F211

 

25187037562E4AFD1FE4A8

 

23260437562E4AFF117B65

 

2763E83A562E4B0204D0BC

 

215FF13A562E4B03062FBF

 

254F753A562E4B050D6542

 

2306363A562E4B0738C87D

 

235DD03A562E4B09079792

 

27451B3A562E4B0B146F68

 

246AA13A562E4B0D019E10

 

2157F139562E4B0E139084

 

22507E39562E4B111BD6D9

 

26663739562E4B120590F4

 

21412939562E4B14295469

 

26653A39562E4B1606A34E

 

23477339562E4B172370E7

 

 

 본  사용기는 썬포토로부터 소정의 원고료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사용기 내용은 아무런 제약없이 제 주관대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글쓴이 명함

nepo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회원등급 : 최고관리자 포인트 : 301,049
레벨 31
경험치 96,619

Progress Bar 59%

가입일 : 2015-06-14 02:58:45
서명 : 장비는 도구다.
자기소개 : Photographer & Photo Gear Reviewer
0   0

댓글목록

한댜님의 댓글

잘 보았습니다... ㅎㅎ

돌팔매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알려주시니.....늘 고맙습니다... 괜찮은 것 같네요..탐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