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시그마 아트 85mm f1.4 리뷰

페이지 정보

본문


 

2726F1355837FCD22EF489

아트 85mm f1.4는 캐논 5D Mark II에 물려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2469D33B583471E50B09A0

 

252EAA48583802020E8226

↑보시다시피 85mm f1.4 렌즈치곤 아주 크고 1,130g으로서 역대급 무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외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224E38355837FCD404A9F3

 

 

2162DB355837FCD61B26E9

 

 

276556355837FCD70D58E4

 

이미 많이 본 모습이라 외관에서 큰 흥미는 일지 않네요.

 

사양으로 안급할만한건 필터 사이즈가 86mm라는 것인데 괜찮은 보호 필터 가격은 10만원을 넘더군요.다행히 사은품으로 줘서 그걸 장착했습니다.렌즈 구성은 11군 14매이고 조리개 날 수는 9매로서 원형 조리개입니다.최단 촬영 거리는 85cm이고 MC-11을 사용하면 소니 미러리스 카메라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초점 링을 돌리면 풀 타임 매뉴얼이 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해상력의 전반적인 양상을 체크해 봤습니다.짙을수록 해상력이 높습니다.다만 벽 패널의 색이 통일되지 않음을 감안하고 보시기 바랍니다.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는 약 9.6m입니다.

2113374C5837FDD21ACBFF

보시다시피 개방에서도 주변부가 일반 렌즈들처럼 심하게 흐려지지 않습니다.조리개를 조이면 f4에서 절정에 이르고 f5.6에서도 잘 유지됩니다.f8에서 조금 떨어지지만 여전히 충분히 좋은 수준이고 f11에서는 회절의 영향이 있지만 괜찮은 수준입니다.f16은 회절에 좀 먹힙니다.

 

전반적으로 해상력이 아주 우수하기 때문에 오히려 실감이 나지 않는 분들은 아래  캐논 EF 85mm f1.8의 해상력을 보시면 아트 85mm f1.4가 특히 주변부에서 얼마나 우수한지 체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261FD14A5837FF3230E9FE

EF 85mm f1.8은 심각한 문제를 보이는데 개방과 그 부근에서 좌측이 심하게 떨어집니다.우측은 좌측보다는 낫지만 주변부는 f5.6으로 조여야 좋아지는 수준입니다.위 아트 85mm f1.4의 해상력과 비교해 보면 그 차이가 다가올겁니다.

 

떨어지는 렌즈와만 비교하면 불공정하니 해상력 좋기로 소문난 삼양 135mm f2도 그 자리에서 같이 비교해 보았습니다.

22566D33583800432BDD61

↑삼양 135mm f2는 역시 명불허전입니다.개방부터 빈틈이 안보입니다.개방부터 워낙 뛰어나서 조여도 별 차이가 없을 정도입니다.참고로 위 이미지에서 시그마 아트 85는 왜곡은 거의 문제없는 수준이고 EF 85mm f1.8은 약간의 배럴 디스토션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삼양 135mm f2도 왜곡은 문제없는 수준이고요.

 

아래는 크롭 비교입니다.비교 편의를 위해서 주변부 광량 저하는 제거하고 비교했습니다.

212A6A4958384B78149A22

주변부에서 차이가 확실합니다.개방과 그 부근 조리개에서도 미세 디테일 차이가 보이고요.다만 5D Mark II가 그리 고화소 카메라가 아니어서 그 차이를 더 명확하게 드러내지 못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색수차는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죠.자동차 후미등의 붉은 색이 너무 강해서 색수차 보는데 방해가 되어 적색과 오렌지색 채도를 최대한 낮추었습니다.

235FBC43583807E61EA402

↑개방에선 꽤 보입니다.f2.0에서도 뚜렷하게 보이며 f2.8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색수차가 심하다고 할 정도는 아니지만 악조건에선 색수차가 꽤 나타날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참고로 점광원이 아니어서 정확히 판단할 수는 없지만 코마 수차는 아주 적어 보입니다.

 

주변부 광량 저하도 한번 보겠습니다.

25377E3C58380D9D15EA16

EF 85mm f1.8에 비해서 개방 조리개에서의 주변부의 광량 저하는 뚜렷합니다.

 

하일라이트 보케의 형태도 살펴 보겠습니다.f1.4~f4.0입니다.

262B8B475838106802F5E5

개방에서 하일라이트 보케는 중앙부는 원형이고 주변부로 갈수록 럭비공 형태로 찌그러집니다.조리개를 조임에 따라 주변부 광량 저하 현상이 해소되어 주변부도 원형을 찾아 갑니다.보케 내부에 양파링이 생기는지도 살펴보죠.

222B0E46583810E92EE0CA

 

234D9746583810EA214354

 

하일라이트 보케 내의 양파링은 비구면 렌즈 연삭 가공시 표면이 거칠어져서 발생하는 것인데 아트 85mm f1.4는 비교적 비구면 렌즈 가공 흔적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따라서 양파링은 거의 눈에 띄지 않습니다.

 

총평을 하자면 시그마 아트 85mm f1.4는 해상력에 있어선 충분한 만족을 줄 것으로 생각됩니다.개방에서도 주변부 까지 상당히 우수한 해상력을 보여줍니다.보케도 꽤 부드러워 보여서 인물 사진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봅니다.색수차는 일반적인 환경에선 문제가 안되겠지만 악조건에선 제법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축상 색수차는 구체적으로 테스트하진 못했지만 상황에 따라 꽤 발생할 수 있습니다.화질적으로는 충분히 만족스런 수준이라고 판단됩니다.문제는 무게와 크기인데 감당할 체력이 되는 분만 구입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다만 엄청나게 무거운건 아니니 직접 만져보는게 정확하겠죠.사실 인물 사진에서 해상력이 전부는 아닙니다.EF 85mm f1.2의 경우 개방 묘사력에서 흐림 효과가 다릅니다. 해상력에 치중하지 않고 그런 다른 묘사력을 선호하는 분들은 EF 85mm f1.2가 나을 수도 있습니다.참고로 5D Mark II를 사용하는지라 AF 성능은 평가하지 않습니다.

 

이상으로 시그마 아트 85mm f1.4의 간단한 리뷰를 마칩니다.아래는 아트 85mm f1.4로  찍어본 이미지입니다.철이 철인지라 주로 단풍입니다.보케는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인물 사진은 아직 찍어보지 못했습니다.인물 사진은 찍게 되면 추가하겠습니다.

 

211EE337583814EC30184D

 

 

 

210A6D37583814EE1305E3

 

 

 

21537637583814EF0411A4

 

 

 

22552E37583814F10D8A1E

 

 

 

27087837583814F332C510

 

 

 

234D2337583814F4177674

 

 

 

22142337583814F5318604

 

 

 

237FED34583814F7367911

 

 

 

26703F34583814F80788C9

 

 

 

2674B734583814FA10BE2A

 

 

 

23629C34583814FC12B00B

 

 

 

265D1034583814FD0843A6

 

 

 

21499134583814FE14F31D

 

 

 

2740B534583814FF15AF6A

 

 

 

2355AD355838150111F9C2

 

 

 

24170935583815020BAE68

 

 

 

25064D35583815032A9C74

 

 

 

242A5C35583815050AD73C

 

 

 

24127435583815071F15B4

 

 

 

22775735583815090E9CBB

 

 

 

246888355838150A22FE92

 

 

 

2227E0465838150B2B3474

 

 

 

234B32465838150D01C9C4

 

 

 

257469465838150E2FDC5E

 

 

 

24226346583815100EDD5B

 

 

 

2441FA465838151202F30E

 

 

 

 

 

 

글쓴이 명함

nepo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회원등급 : 최고관리자 포인트 : 301,049
레벨 31
경험치 96,619

Progress Bar 59%

가입일 : 2015-06-14 02:58:45
서명 : 장비는 도구다.
자기소개 : Photographer & Photo Gear Reviewer
0   0

댓글목록

freshsoul님의 댓글

해상력은 역시 명불허전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