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올림푸스 45mm f1.2 PRO 리뷰

페이지 정보

본문


Design/외관

 

99C35D335A2152830D5FB0

 

 

 

99A8C6335A2152D10D36E0

 

 

99BF4A335A1FE70B264C1A

올림푸스가 조금 더 키가 크고 폭은 파나소닉이 넓습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마운트 부분 바로 앞의 폭이 넓어서 렌즈를 카메라에 장착시 더 가려지기 때문에 결합점을 정확하게 맞추기가 좀  어렵습니다. 또한 파나소닉의 경우 후드가 스냅식으로 간편하게 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끼운 다음에 나사로 조여주는 방식입니다. 조여준 부분이 돌아가면 렌즈 외부 도장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올림푸스는 기왕이면 후드 길이가 조금 더 길었으면 합니다. 올림푸스 45mm f1.2 PRO의 크기는 E-M1 Mark II에선 손에 쥐기 편할 정도의 크기입니다. 다만 작은 카메라에선 상대적으로 밸런스가 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pecification/사양

  올림푸스 45mm f1.2 PRO 파나소닉 42.5mm f1.2
화각 27˚ 29˚
조리개 날 수 9 9
최단 촬영 거리 0.5m 0.5m
최대 접사 배율 1:10 1:10
조리개 f1.2-16 f1.2-16
렌즈 구성 10군 14매 11군 14매
필터 직경 62mm 67mm
크기 70 x 84.9mm 74 x 76.8mm
무게[실측치] 505g(렌즈 본체 453g+후드 31g+앞캡 14g+ 뒷캡 7g) 550g(렌즈 본체 436g+후드 86g+앞캡 21g+ 뒷캡 7g)
특기 사항 렌즈 후드 포함, 방진방적 렌즈 후드 포함

 

Light Fall-Off/주변부 광량저하

992C58335A1FE762012483

개방에서 파나소닉 42.5mm f1.2의 주변부 광량저하가 상대적으로 심합니다.

 

Resolution-Minimum Focus Distance/최단거리 해상력

개방포커싱 레일을 사용해서 최단 촬영 거리에서 주변부,중간부 및 중앙부에  각각 따로 초점을 맞춰 해상력을 비교했습니다.

994E89335A27A47D2C3CA1

 

 

99EE36335A27A47E1DB09E

 

 

99DEB1335A27A4801E16A6

최단 촬영 거리에서는 올림푸스의 완승입니다.

 

Resolution-Near/근거리 해상력

996C15335A1FF13C0F30F5

 

중앙부는 올림푸스가 낫고 주변부는 미세하게나마 파나소닉이 나아 보입니다. 조여주면 비슷해집니다.

 

Resolution-Middle Distance/중간 거리 해상력

99398C335A1FFC67192F5B

개방 부근에서는 올림푸스가 중앙부가 조금 나아 보입니다. 조여주면 별 차이 없습니다.

위 조리개별 해상력 비교를 전체적 분포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짙을수록 해상력이 높습니다.

999EFA335A24AE442A94A5

 

 

Chromatic Aberration/색수차

994DA0335A200CAF1B0DF8

전반적으로 올림푸스가 색수차가 적습니다.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축상색수차

99136F335A200D07273EEF

구분하기 쉽지 않지만 대체로 올림푸스가 축상색수차가 적어 보입니다.

 

Performance Against Bright Light/역광 내성

994485335A2011562D93DD

굳이 설명이 필요없습니다. 올림푸스가 확연히 낫습니다. 다만 올림푸스는 새 렌즈로서 아주깨끗한 상태이고 파나소닉은 렌즈 전면을 청소한 상태라 렌즈 전면 코팅이 미세하게나마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어서 아무래도 불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Focus Shift/초점 이동

9979D9335A20180914D0E3

↑올림푸스는 초점 이동이 사실상 없는 수준입니다.

 

99ADDC335A20180B0F045F

↑파나소닉은 초점 이동이 있긴 하지만 아주 약한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Bokeh/보케

9940AA335A201CF9137628

 

 

9958F5335A201CFE11BBD8

↑올림푸스가 아무래도 더 망원이라 동일 거리에서 비교시 보케 효과가 더 강합니다. 보케의 부드러움은 큰 차이를 느끼기는 힘들지만 올림푸스가 약간은 나은 것 같습니다.

 

99224B335A201D012A9412

 

 

99AF51335A201D0231890C

↑파나소닉은 하일라이트 보케 내부에 양파링이 조금은 보입니다. 올림푸스는 양파링은 거의보이지 않지만 연마 흔적이 조금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Sunstar/빛갈라짐

99B6AE335A2033EE1537F9

 

f4부터 빛갈라짐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날 수가 많아서 깔끔한 편은 아닙니다.

 

Verdict/평가

전반적인 성능은 올림푸스 45mm f1.2 PRO가 낫습니다. 아무래도 늦게 나온 렌즈라 그만큼 더 신경을 썼겠죠. 이 정도의 차이가 기존 파나소닉 42.5mm f1.2 유저가 당장 처분하고 넘어갈 정도인지는 의문입니다. 다만 방진방적과 후드의 탈착 면에서 편의성은 올림푸스가 한 수 위라고 봅니다. 새로 고급 인물 렌즈를 구입할 유저에게는 아무래도 올림푸스 45mm f1.2 PRO가 장점이 많음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글쓴이 명함

nepo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회원등급 : 최고관리자 포인트 : 301,049
레벨 31
경험치 96,619

Progress Bar 59%

가입일 : 2015-06-14 02:58:45
서명 : 장비는 도구다.
자기소개 : Photographer & Photo Gear Reviewer
0   0

댓글목록

한댜님의 댓글

참고하겠습니다... ㅎㅎㅎㅎ 지뢰 19P